2025) 수능특강 영어_13강 빈칸내용추론(1)_02번 직독직해

2025. 3. 19. 14:52고3 연계교재

 

13강 - 2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t a certain age - nine, ten, eleven, we were all there once — most of us are capable of the kind of __________ it takes to master some single, obscure skill that we've decided is central to our identity.  Maybe it's drawing a horse, or copying a guitar solo, or dribbling a basketball behind our back. Maybe it's an ollie, that elementary Skateboarding move, a kind of standing jump where the feet never leave the board. We don't need a manual to tell us what to do, and we just do it. Repeatedly. Head-down, nose-to-the-grindstone, just like we've been told. A belief in repetition is in the cultural water supply, in every how-to-succeed manual and handbook, every sports and business autobiography.  There's a reason that coaches, music instructors, and math teachers often run their students through drills, followed by more drills: Perform one hundred A-minor scales (or free throws, or toe kicks) in an afternoon and you will see progress.  Do another two hundred and you'll see more still.

* obscure: 이해하기 어려운 ** nose-to-the-grindstone: 쉬지 않고 악착같이

*** minor scale: 단음계


① blind devotion

② creative thinking
③ deliberate breaks
④ mastering a manual
⑤ effective cooperation

 

 

2025년 수능특강 영어 13강 2번 < 맹목적인 전념의 역할 >

 

1. At a certain age - nine, ten, eleven, we were all there once — most of us are capable of the kind of ____________ it takes to master some single, obscure skill that we've decided is central to our identity. 

- 어떤 특정한 나이에서/ - 9, 10, 11살,/ 우리는 모두 거기에 있었다/ 한때 -/ 우리 대부분은 ______의 그 종류를 할 능력이 있다/ 약간의 단일의, 이해하기어려운 기술을 숙달하는데 드는/ 우리가 결정해버리기로/ 우리의 정체성에 중심적인

- 어떤 나이, 우리 모두가 한때 그 나이였던 아홉 살, 열살, 열한 살 때에, 우리 대부분은 우리가 우리 정체성의 핵심이라고정한 어떤 이해하기 어려운 기술 하나를 완벽히 익히는 데 필요한 일종의 맹목적인 전념을 실행할 능력이 있다. 

* the kind of _____ (that) it takes to master some single, obscure skill 

- it take 시간/돈/노력 to R : to R하는데 시간/돈/노력이 든다

- (that) 관계대명사 목적격 생략

 

* that we've decided is central to our identity

- we've decided를 삽입절로 생각해서 제외시키면 

- that은 관계대명사 주격

- is 수일치 주의 - 주어는 some single, obscure skill

 

2. Maybe it's drawing a horse, or copying a guitar solo, or dribbling a basketball behind our back.

- 아마도/ 그것은 어떤 말을 그리는 것이다,/ 또는 어떤 기타 솔로를 따라하는 것(이다),/ 또는 어떤 농구공을 드리블하는 것(이다)/ 우리의 등뒤에서

- 어쩌면 그것이 말 그리기일 수도 있고, 기타 솔로 연주 따라 하기일 수도 있고, 농구 공을 자신의 등 뒤에서 드리블하는 것일 수도 있다. 

 

3. Maybe it's an ollie, that elementary Skateboarding move, a kind of standing jump where the feet never leave the board.

- 아마도/ 그것은 어떤 알리다,/ 저 기본적인 스케이트보딩 움직임인,/ 일종의 스탱딩 점프/ 그 발들이 결코 그 보드를 떠나지않는

- 어쩌면 그것은 스케이트보드의 기본 동작인 알리, 즉 발이 보드에서 절대 떨어지지 않는 일종의 스탠딩 점프일 수도 있다.

 

4. We don't need a manual to tell us what to do, and we just do it.

- 우리는 어떤 메뉴얼을 필요로하지않는다/ 우리에게 말해줄/ 무엇을 해야하는지를,/ 그리고 우리는 그냥 그것을 한다.

- 무엇을 해야 하는 지 알려 주는 매뉴얼도 필요 없이 우리는 그저 그것을 한다. 

 

5. Repeatedly. Head-down, nose-to-the-grindstone, just like we've been told.

- 반복적으로. 고개를 숙인채,/ 쉬지 않고 악착같이,/ 그냥 우리가 명령받아버린것 처럼

- 반복적으로. 고개를 숙인 채, 쉬지 않고 악착같이, 마치 우리가 명령받은 것처럼 말이다. 

 

7. A belief in repetition is in the cultural water supply, in every how-to-succeed manual and handbook, every sports and business autobiography.  

- 어떤 믿음은/ 반복에 대한/ 그 문화적 상수도 속에 있다,/ 모든 어떻게-성공하는지 메뉴얼과 안내서 속에 (있다),/ 모든 스포츠와 비지니스 자서전 속에 (있다)

- 반복에 대한 믿음은 문화적 급수에, 모든 성공 매뉴얼과 안내서에, 모든 스포츠 및 비즈니스 자서전에 있다. 

 

8. There's a reason that coaches, music instructors, and math teachers often run their students through drills, followed by more drills: Perform one hundred A-minor scales (or free throws, or toe kicks) in an afternoon and you will see progress. 

- 어떤 이유가 있다/ 코치들, 음악 강사들, 그리고 수학 교사들이 종종 그들의 학생들을 진행시키는/ 훈련들을 통해,/ 더많은 훈련들이 따라오면서:/ 100번의 A-단음계들을 연습해라/ (또는 자유투들, 또는 토킥들)/ 어떤 오후 안에/ 그러면 너는 향상을 볼것이다.

- 코치, 음악 강사, 수학 교사가 흔히 학생들에게 연습을 시키고, 이어서 더 많은 연습을 시키는 데에는 이유가 있는데, 오후 한나절에 A 단음계(또는 자유투 또는 토킥)를 백 번 연습하면 여러분은 향상을 보게 될 거라는 것이다. 

* There's a reason (that = why) 관계부사 생략가능

* (being) followed by : 분사구문, be followed by 가 뒤따라오다

* and you will see progress : 명령문 and(그러면)

 

9. Do another two hundred and you'll see more still.

- 또다른 2백번을 해라/ 그러면 너는 더많은것을 볼 것이다/ 여전히

- 다시 이백 번을 더 하면 훨씬 더 많은 진전을 보게 될 것이다.

 

 

정답 : ① blind devotion (맹목적 전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