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1. 15:16ㆍ고3 연계교재
13강 - 3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Designers do not merely solve the problems people face today, they also create new meanings, a process also known as design-driven innovation. Innovative value creation is based on more fundamental insights about people and society, and is often enabled by advancements in technology. Consider, for example, the mobile phone. In a classic Dutch television program, people on the street were asked whether they would like to have a device that would allow them to make phone calls 24/7 from wherever they were. The typical response was that such a device would not offer any added value and that its use would be totally superfluous. That program was made in 1999 and now, 20 years later, we can simply not imagine a world without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Design-driven innovation is about translating user insights into propositions — new meanings — that people love, but __________________________.
* superfluous : 불필요한
① were not able to gain access to
② never knew they wanted or needed
③ never became skilled in interpreting
④ didn't remember they had already considered
⑤ couldn't comprehend because of their complexity
2025년 수능특강 영어 13강 3번 < 디자인 주도 혁신의 의미 >
1. Designers do not merely solve the problems people face today, they also create new meanings, a process also known as design-driven innovation.
- 디자이너들은 단순히 그 문제들을 해결할 뿐만아니라/ 사람들이 오늘날 직면한,/ 그들은 또한 새로운 의미들을 창조해낸다,/ 어떤 과정인/ 또한 알려진/ 디자인-주도 혁신으로써
- 디자이너는 오늘날 사람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그저 해결하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기도 하는데, 이는 디 자인 주도 혁신이라고도 알려진 과정이다.
*not merely A but also B : A 뿐만 아니라 B도 - 접속사 but이 없어 어법적으로는 오류
- merely 자리에 only, just, simply, chiefly 가능
2. Innovative value creation is based on more fundamental insights about people and society, and is often enabled by advancements in technology.
- 혁신적인 가치 창출은/ 더 근본적인 통찰력들에 기반된다/ 사람들과 사회에 대한,/ 그리고 종종 가능해진다/ 발전들에 의해서/ 기술에서
- 혁신적인 가치 창출은 사람과 사회에 관한 더 근본적인 통찰력에 기반을 두며, 흔히 기술 발전에 의해 가능해진다.
3. Consider, for example, the mobile phone.
- 예를 들어, 휴대 전화를 생각해 보라.
4. In a classic Dutch television program, people on the street were asked whether they would like to have a device that would allow them to make phone calls 24/7 from wherever they were.
- 어떤 대표적인 네덜란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사람들은/ 그 거리에/ 질문받았다/ 그들이 어떤 장치를 가지는 것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 그들이 전화들을 하도록 허용해줄/ 하루24시간 7일/ 그들이 있는 곳은 어디에서든지 그곳에서부터
- 네덜란드의 한 대표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길거리의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있는 어디서나 일주일 내내 하루 24시간 동안 전화를 걸 수 있게 해주는 기기를 갖고 싶은지 물었다.
*whether과 that 구분하기 :
1) 형태적 힌트 - ask, know, wonder, tell, be sure, check, find out, see 뒤에서는 whether(=if)
2) 해석적 힌트 - [인지아닌지]의 해석이 [하는 것을]보다 더 잘 어울림
- [사람들은 그들이 어떤 장치를 가지는 것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O)/좋아한다는 것을(X) 질문받았다]
5. The typical response was that such a device would not offer any added value and that its use would be totally superfluous.
- 그 전형적인 응답은 -이었다/ 그러한 어떤 장치는 어떠한 추가된 가치를 제공하지 않을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의 사용은 전적으로 불필요할것이라는 것(이었다)
- 일반적인 대답은 그러한 기기는 어떤 부가 가치도 제공하지 않을 것이며,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불필요하리라는 것이었다.
6. That program was made in 1999 and now, 20 years later, we can simply not imagine a world without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 저 프로그램은 만들어졌다/ 1999년에/ 그리고 지금,/ 20년 후에,/ 우리는 어떤 세상을 단지 상상할수없다/ 휴대용 통신 기기들이 없는
- 그 프로 그램은 1999년에 만들어졌는데, 2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휴대용 통신 기기가 없는 세상을 상상조차 할 수 없다.
7. Design-driven innovation is about translating user insights into propositions — new meanings — that people love, but __________________________.
- 디자인-주도 혁신은 사용자 통찰들을 바꾸는 것에 대한것이다/ 문제들로 / - 새로운 의미들(로) - / 사람들이 너무나좋아하는,/ 그러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디자인 주도 혁신은 사용자 통찰을 사람들이 좋아는하나 자신들이 __________________ 것, 즉 새로운 의미로 바꾸는 것과 관련된다.
정답 : ② never knew they wanted or needed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줄을 절대 몰랐던)
'고3 연계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수능특강 영어_11강 어법 정확성 파악_01번 직독직해 (0) | 2025.03.24 |
---|---|
2025) 수능특강 영어_13강 빈칸내용추론(1)_04번 직독직해 (0) | 2025.03.24 |
2025) 수능특강 영어_13강 빈칸내용추론(1)_02번 직독직해 (0) | 2025.03.19 |
2025) 수능특강 영어_13강 빈칸내용추론(1)_01번 직독직해 (0) | 2025.03.19 |
2025) 수능특강 영어_05강 함축적 의미 파악_04번 직독직해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