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수능특강 영어_13강 빈칸내용추론(1)_01번 직독직해

2025. 3. 19. 14:05고3 연계교재

 

13강 - 1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magine someone eagerly attempting to explain why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sun will rise tomorrow morning because it always has done so in the past. There may have been a time when primitive man anticipated the dawn with assurance based only upon the fact that he had seen dawn follow the blackness of night as long as he could remember, but this primitive state of knowledge, if it ever existed, was unquestionably prescientific. This kind of reasoning bears no resemblance to science; in fact, the crude induction exhibits a complete absence of scientific understanding. Our scientific reasons for believing that the sun will rise tomorrow are of an entirely different kind. We understand the functioning of the solar system in terms of the laws of physics. We predict particular astronomical occurrences by means of these laws in combination with a knowledge of particular initial conditions that prevail. Scientific laws and theories have the logical form of general statements, but they are seldom, if ever, simple generalizations from _____________.

* crude: 서툰, 세련되지 않은 ** astronomical: 천문학의

 

① chance
② physics
③ experience
④ imagination
⑤ experiments

 

 

2025년 수능특강 영어 13강 1번 < 경험에 기반한 단순한 추론의 비과학성 >

 

1. Imagine someone eagerly attempting to explain why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sun will rise tomorrow morning because it always has done so in the past.

- 상상해보라/ 누군가가 열정적으로 시도중이라는 것을/ 설명하는 것을/ 왜 합리적인지를/ 결론짓는 것은/ 그 태양아 내일 아침에 뜰것이라는 것을/ 왜냐하면 그것은 항상 그렇게 해왔기 때문에/ 과거에

- 누군가 지금까지 항상 그래왔기 때문에 내일 아침에 해가 뜰 것이라고 결론짓는 것이 왜 합리적인지 설명하려고 열심히 시도하는 것을 상상해 보라. 

* Imagine (that) : 명사절(목적절)의 접속사 생략

* it : 가주어, to conclude that the sun will rise tomorrow morning : 진주어

* it 지칭 : the sun

 

2. There may have been a time when primitive man anticipated the dawn with assurance based only upon the fact that he had seen dawn follow the blackness of night as long as he could remember, but this primitive state of knowledge, if it ever existed, was unquestionably prescientific.

- 어떤 시간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원시인이 그 새벽을 예측했던/ 확신을 가지고/ 단지 그 사실에 기반된/ 그가 새벽이 밤의 그 어둠을 따라오는 것을 보아왔었다는/ 그가 기억할수있었던한,/ 하지만 이 원시적 상태는/ 지식의,/ 그것이 존재한적 있었을지라도,/ 의심할여지없이 전과학적이었다.

- 원시인은 자신이 기억할 수 있는 한 밤의 어둠이 지나면 새벽이 오는 것을 보아 왔다는 사실만을 근거로 확신하며 새벽을 기대했던 때가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이러한 지식의 원시적 상태는 그것이 존재한 적이 있다고 하더라도 의심할 여지 없이 과학 발생 이전의 것이었다. 

*may have p.p. : 였을지도 모른다 - 과거에 그랬을거라고 지금 생각함

*a time (when) 완전 문장 : 관계부사 when

*the fact that 완전문장 : 동격의 접속사 that - 생략 불가

*see dawn follow the blackness of night : see O가 R하는것을 보다 - 지각동사 5형식 구문

*if it ever existed : if는 '비록 일지라도', it의 지칭 : this primitive state of knowledge

 

3. This kind of reasoning bears no resemblance to science; in fact, the crude induction exhibits a complete absence of scientific understanding.

- 이러한 종류의 추론은/ 어떤 유사성도 품지않는다/ 과학에;/ 사실,/ 그 서툰 추리는 어떤 완전한 부재를 보여준다/ 과학적 이해의

- 이러한 형태의 추론은 과학과 전혀 유사성이 없는데, 사실 그 서툰 귀납추리는 과학적 이해가 전혀 없음을 보여 준다. 

*bear 을 품다, 을 생각하다

*resemblance to A에 유사함

*bear resemblance to A에 유사성이 있다 > 단어장 단어

 

4. Our scientific reasons for believing that the sun will rise tomorrow are of an entirely different kind.

- 우리의 과학적 이유들은/ 믿는것에서의/ 그 태양이 내일 뜰것이라는 것을/ 어떤 완전히 다른 종류중에 있다.

- 내일 해가 뜰 것이라고 믿는 우리의 과학적 이유는 완전히 다른 형태이다. 

 

5. We understand the functioning of the solar system in terms of the laws of physics. 

- 우리는 그 기능을 이해한다/ 그 태양계의/ 물리학의 그 법칙들의 관점에서

- 우리는 물리 법칙의 관점에서 태양계의 작동을 이해한다. 

 

6. We predict particular astronomical occurrences by means of these laws in combination with a knowledge of particular initial conditions that prevail.

- 우리는 특정한 천문학적 현상들을 예측한다/ 이러한 법칙들의 수단에 의해서/ 조합들 속에/ 특정한 초기 조건들의 어떤 지식과/ 널리 퍼져있는

- 우리는 일반적인 특정 초기 조건들 에 관한 지식과 결합된 이러한 법칙의 도움으로 특정한 천문학적 현상을 예측한다. 

*that prevail : 관계대명사 주격 that

 

7. Scientific laws and theories have the logical form of general statements, but they are seldom, if ever, simple generalizations from _____________.

- 과학적 법칙들과 이론들은 그 논리적 형태를 가진다/ 일반 진술들의,/ 하지만 그것들은 거의 -아니다,/ 있다하더라도,/ 단순한 일반화들이 (거의 아니다)/ __________로부터의

- 과학적 법칙과 이론은 일반 진술의 논리적 형태를 띠지만, 그것이 경험에서 나온 단순 일반화인 경우는 설사 있더라도 극히 드물다.

*they 지칭 : Scientific laws and theories

*seldom : 거의 아니다

 

 

 

정답 : ③ experience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