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3. 22:02ㆍ고3 연계교재
[2024년] 수능특강 영어 Test 1 - 23번 직독
<영장류의 추상적 관계형 추론 능력>
* primate: 영장류
** hierarchy: 위계. 계층
***versatile: 다방면적인
onwards 나아가서, 전방으로, 앞으로
comparable 비교할만한, 필적한, 동등한
Primates are capable of sophisticated forms of reasoning in naturalistic settings, especially when their food — or position in the social hierarchy — is in danger.
영장류들은 추론의 정교한 형태들을 할 수 있다/ 자연적인 환경들 속에서,/ 특히 그들의 먹이가/ – 또는 지위가/ 그 사회적 위계 속에 -/ 위험에 처해있을 때
영장류는 자연적인 환경에서, 특히 그들의 먹이 또는 사회 위계에서의 지위가 위태로운 경우에 정교한 형태의 추론을 할 수 있다.
However, it is unclear how versatile their relational reasoning might be.
하지만,/ 명확하지않다/ 그들의 관계적 추론이 얼마나 다방면적일지는
그러나 그들의 관계형 추론이 얼마나 다방면적일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In the 1940s, the primatologist Harry Harlow made an interesting discovery.
1940년대에,/ 그 영장류학자 해리 할로우는 어떤 흥미로운 발견을 만들었다.
1940년대에 영장류학자 Harry Harlow는 흥미로운 발견을 했다.
In a series of experiments, monkeys learnt to choose between two visual objects, one of which was rewarded and one was not.
일련의 실험들에서,/ 원숭이들은 배웠다/ 선택하는 것을/ 2개의 시각적 물체들 사이에서,/ 그런데 그것들 중의 하나는 보상받았다/ 그리고 하나는 그렇지않았다.
일련의 실험에서 원숭이는 두 개의 시각적 물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법을 배웠는데, 그중의 하나에는 보상이 주어지고 다른 하나에는 보상이 주어지지 않았다.
Harlow noted with surprise that each time the task was restarted with two entirely novel objects, the monkeys learnt slightly faster.
할로우는 언급했다/ 놀람과함께/ 그 과업이 재시작되었던 때마다/ 2개의 완전히 새로운 물체들을 가지고,/ 그 원숭이들은 약간 더빨리 배웠다는 것을
Harlow는 완전히 새로운 물체 두 개로 그 과제가 다시 시작될 때마다 원숭이들이 조금씩 더 빨리 배운다는 것을 놀라워하며 언급했다.
In fact, their performance continued to accelerate over hundreds of new object sets, until eventually the monkeys could respond almost perfectly from the second trial onwards.
사실,/ 그들의 수행은 가속화하는 것을 계속했다/ 수백개의 새로운 물체 세트들에 걸쳐서,/ 결국 그 원숭이들이 거의 완벽하게 반응할 수 있을때까지 계속/ 그 두 번째 시도로부터/ 계속 나아가서
사실, 그들의 (과제) 수행은 수백 개의 새로운 물체 세트를 거치면서 계속 더 빨라졌고, 결국 원숭이들은 두 번째 시도부터는 계속 거의 완벽하게 반응할 수 있었다.
Harlow argued that over the course of repeated pairings, the monkeys had learnt how to learn.
할로우는 주장했다/ 반복된 쌍들의 그 과정에 걸쳐서,/ 그 원숭이들은 배워버렸었다는 것을/ ‘어떻게 배우는지를’
Harlow는 반복적인 (물체의) 쌍을 거치는 동안 원숭이가 '배우는 법을 알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It seems that the monkeys learnt something abstract ab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stimuli in each pairing — that if one was rewarded, the other was not.
그것은 -인것같다/ 그 원숭이들은 추상적인 어떤 것을 배웠던 것(같다)/ 그 관계들에 대해서/ 그 두 자극들 사이에/ 각각의 쌍 속에서/ - 만약 하나가 보상받았다면, 그 나머지는 그렇지않았다는
원숭이는 각 쌍에서의 두 자극 사이의 관계에 대한 추상적인 무언가, 즉 한 자극에 보상이 주어지면 나머지 자극에는 보상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배운 것처럼 보인다.
By generalizing this knowledge to new pairings, they could learn ever faster.
이 지식을 일반화함으로써/ 새로운 쌍들에,/ 그것들은 계속 더빠르게 배울수있었다.
이 지식을 새로운 쌍에 일반화함으로써, 그들은 한층 더 빠르게 배울 수 있었다.
Human children tested in a comparable fashion showed the same ability.
인간 아이들은/ 실험된/ 어떤 비교할만한 방식으로/ 그 똑같은 능력을 보여줬다.
비슷한 방식으로 실험을 거친 인간 아이들도 같은 능력을 보여 주었다.
→ Harry Harlow's experiments show that primates, like humans, can (A)apply abstract relational reasoning in a different context, which happens faster with (B)increased exposure to stimuli.
해리 할로우의 실험들은 보여준다/ 영장류들은,/ 인간들처럼,/ 추상적인 관계적 추론을 적용할수있다는 것을/ 어떤 다른 맥락 속에서,/ 그런데 그것은 더빠르게 발생한다/ 증가된 노출과함께/ 자극들에
Harry Harlow의 실험은 영장류가 인간과 마찬가지로 다른 맥락에서 추상적 관계형 추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자극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더 빠르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아래는 [2024년] 수능특강 영어 T1 - 23번 워크북 파일입니다.
A. 해석 연습
B. 영작 연습
C. 어법 연습
D. 순서배열
E. 빈칸 넣기
Final Check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고3 연계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수능특강 영어 16강 - 6번 직독 / 워크북 / 문제 (0) | 2024.12.03 |
---|---|
[2024년] 수능특강 영어 Test 1 - 21번 직독 / 워크북 / 문제 (0) | 2024.12.03 |
[2024년] 수능특강 영어 29강 - 3번 직독 직독 / 워크북 / 문제 (0) | 2024.12.03 |
[2024년] 수능특강 영어 29강 - 1번 직독 / 워크북 / 문제 (0) | 2024.12.03 |
[2024년] 수능특강 영어 15강 - 1번 직독 / 워크북 / 문제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