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3. 3. 15:12ㆍ고3 연계교재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특 영어 15강 문단 요약하기 입니다!
15강은 4지문이네요~
15강 1~4번까지 첫문장들입니다~!
- 15강 1번: Modern theories have applied and extended early principles to understand people's behavior when people have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others while concealing their personal identity and remaining anonymous.
- 15강 2번: Suppose you were participating in an experiment using a new saliva test to detect an enzyme deficiency that predicted pancreatic disease in later life.
- 15강 3번: Plants need water to give rigidity to their cells, but water stress also produces other, more subtle effects.
- 15강 4번: The interpretation of quantitative and numeric data is among the factors relevant to the processing of science communication.
15강 1번 직독직해와 어법 설명입니다!
도치 문법이 있는 중요한 지문이네요~
시작할게욥!!
15강 1번
1) Modern theories have applied and extended early principles to understand people's behavior when people have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others while concealing their personal identity and remaining anonymous.
현대의 이론들은 초기의 원리들을 적용해왔고 확장해왔다/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하기위해서/ 사람들이 그 기회를 가질 때/ 다른이들과 상호작용할/ 그들의 개인의 정체성을 숨기고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의 이론은 개인의 정체성을 숨기고 신원 불명으로 남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을 할 기회가 있을 때의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초창기 원리를 적용하고 확대했다.
while concealing : 분사구문, 뒤에 and remaining도 분사구문 분사병렬
2) The term deindividuation was coined by Leon Festinger and colleagues in the 1950s to describe situations in which people cannot be individuated or isolated from others.
그 용어 ‘몰개성화’는 신조어로만들어졌다/ 레온 페스팅어와 동료들에 의해서/ 1950년대에/ 상황들을 묘사하기위해서/ 사람들이 개별화되거나 분리될수 없는/ 다른이들로부터
‘몰개성화’라는 용어는 사람들이 개별화될 수 없는 혹은 다른 사람들과 구분될 수 없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Leon Festinger와 동료들에 의해 1950년대에 만들어졌다.
in which : 뒤에 완전문장, people cannot be individuated or isolated from others in 에서 in이 which앞으로 감
3) According to Festinger and colleagues, being deindividuated brings about a loss of individuality.
페스팅어와 동료들에 따르면,/ 몰개성화되는 것은 어떤 손실을 초래한다/ 개성의
Festinger와 동료들에 의하면 몰개성화되는 것은 개성의 상실을 야기한다.
being deindividuated : 동명사 주어
4) They proposed that being deindividuated reduces normal constraints on behavior and people can do things they normally would not do because they are not directly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그들은 제시했다/ 몰개성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통제들을 약화시킨다는 것을/ 행동들에/ 그리고 사람들은 일들을 할수 있다는 것을/ 그들이 보통 하지않을/ 왜냐하면 그들이 직접적으로 책임이없기 때문에/ 그들의 행동들에
그들이 제시한 것은, 몰개성화되는 것은 행동에 대한 일반적인 통제를 약하게 하고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직접적으로 책임이 없기 때문에 보통 때는 하지 않을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they normally would not do : 목적어 things가 선행사로 앞으로 간 불완전문장, 앞에 관계대명사 that 생략, would는 가정법 주절에 쓰는 조동사(그들은 평상사에 하지않을텐데)
5) They are, in a sense, liberated to do what they like.
그들은 -다,/ 어떤 의미에서,/ 해방된(다)/ 하기위해서/ 그들이 좋아하는 것을/
어느 면에서 그 사람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것을 하도록 해방된 셈이다.
6) Festinger and colleagues found support for this idea by demonstrating that participants who were engaged in a group discussion about their parents, while being dressed alike in a dimly lit room, were more likely to make negative comments about their parents than were participants in a control condition.
페스팅어와 동료들은 지지를 발견했다/ 이 아이디어에 찬성하는/ 증명함으로써/ 참가자들은/ 어떤 집단 토론에 관여되었던/ 그들의 부모들에 대한,/ 똑같이 입혀지면서/ 어떤 어둑하게 불밝혀진 방안에,/ 부정적인 언급들을 만들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것을/ 그들의 부모들에 대해서/ 참가자들이 그러했던 것 보다/ 어떤 통제된 환경안에서
Festinger와 동료들은 자신들의 부모에 대한 집단 토의에 참여한 참가자가 어둑하게 불이 켜진 방에서 비슷한 옷을 입었을 때 통제 조건에 있는 참가자들보다 자신의 부모에 대해 부정적으로 언급할 가능성이 더 많았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이 생각에 대한 증거를 찾았다.
while being dressed alike in a dimly lit room : 분사구문, while participants were dressed alike ~, lit은 수동분사(p.p)로 뒤의 room을 수식
were : 앞의 that절의 핵심 주어가 participants이고 were가 서술어
★중요 than were participants in a control condition : than 도치, 통제 환경 속에 참가자들이 그러했던것보다 (부모에대해 부정적 언급들을 할 가능성이 있었던것보다), participants in a control condition were likely to make negative comments about their parents를 대신할 서술어가 be동사이므로 were
※ 도치 = 강조어구 P S
1) 의문문 순서 도치 - 부온소소니
1. 부정부사어구 도치2. only 시간부사 도치3. so 형부 P S that 도치4. so do I/neither do I 도치
2) 그냥 도치 - 장보프에단
1. 장소부사어구 도치2. 보어 강조 도치3. if 생략 도치
4. as P S/than P S도치
그냥 도치 중에서 4번째 than 도치는
앞의 서술어가 일반동사면 do/does/did, be동사면 am/are/is/was/were, 조동사면 조동사로
짧은 서술어가 앞으로 오고 주어가 뒤로 가는 도치입니다!
7) In other words, the deindividuated situation allowed participants to express views that they would normally keep to themselves.
다시 말해서,/ 그 몰개성화된 상황은 참가자들이 관점들을 표현하도록 허용했다/ 그들이 보통 그들마음속에 담아두었을
다시 말해, 몰개성화된 상황 때문에 참가자들은 보통의 경우라면 마음속에 담아 둘 생각을 표현할 수 있었다.
→ In describing people’s behavior, Festinger and colleagues claimed that the individual’s (A)immersion in a crowd or group results in a loss of self-identity; consequently, this loss is more likely to (B)encourage people to produce unrestrained social behaviors.
→ 사람들의 행동을 묘사할 때,/ 페스팅어와 동료들은 주장했다/ 그 개인의 묻힘은/ 어떤 군중이나 집단 속에/ 자아-정체성의 어떤 소실을 초래한다는 것을;/ 결과적으로,/ 이 손실은 사람들이 억제되지않은 사회적 행동들을 생산하도록 격려할 가능성이 더 있다.
→ 사람들의 행동을 설명하면서, Festinger와 동료들은 군중이나 집단에서 개인의 묻힘은 자아 정체성을 잃게 하고, 그 결과, 이러한 상실이 사람들이 억제되지 않은 사회적 행동을 하는 것을 부추길 가능성이 더 많다고 주장했다.
여기까지~!
이 블로그에 제가 이제껏 가르쳐온 방식들과 자료들을 아카이브화하는게 목표인데
문법 정리 파트를 아직 손대지 못했네요~
도치 파트가 정리되면 추가 자료를 더 올리겠습니다!
그래도 질문은 댓글로~
오늘도 씩씩하게 화이팅!!
'고3 연계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수능특강 영어 Test 1 - 12~17번 (0) | 2022.05.11 |
---|---|
2022년 수능특강 영어 18강-2번, 4번 (0) | 2022.04.26 |
2022년 수능특강 영어 14강 (0) | 2022.03.02 |
2022년 수능특강 영어 13강 (0) | 2022.03.01 |
2022년 수능특강 영어 12강 (0) | 2022.02.25 |